안전보건

봄철 미세 먼지가 발생하는 원인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예방 방법은 무엇인가?

소중아 2023. 3. 26. 16:24

1.중국발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원인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

 

1-1)중국발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원인

중국발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중국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대기 오염이 심각한 나라 중 하나입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 공장, 화력발전소, 건설 등으로 인해 대기 중에 먼지, 화학물질, 유기물, 금속 등이 발생합니다. 또한, 중국의 건설업 및 산업 활동은 건조 지역에서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 지역에서 발생하는 황사 역시 미세먼지 발생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1-2)한국에 미치는 영향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대기 오염으로 인해 건강 문제가 발생하고, 심한 경우 폐 질환 및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기 중 미세먼지가 많아지면 가시 거리가 낮아지기 때문에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미세먼지는 또한 농작물 및 작물 생산에도 영향을 미치며, 지속적인 대기 오염은 환경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미세 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예방방법

 

2-1)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미세먼지는 인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호흡기 질환, 폐암, 심혈관계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에는 화학 물질, 금속, 유기화합물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먼지 성분은 호흡기 질환에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습니다.

 

①유기화합물: 폐 기능 저하, 천식, 호흡기 감염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②금속: 중금속인 납, 구리, 비소 등은 신경계 손상, 뇌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호흡기 기관을 자극하여 기침, 호흡곤란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③화학 물질: 다양한 화학 물질은 폐 기능 저하, 호흡기 감염, 천식 등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세먼지는 호흡기 점막을 자극하고, 폐에 침전되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세먼지 입자는 흡입 후 폐 기관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폐와 관련된 질환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따라서,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위험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미세먼지는 실내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실내공기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습니다.

 

2-2)미세먼지에 대한 예방 방법

①마스크 착용: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입, 코를 보호해야 합니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씨에는 KF94 등의 고급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실내공기 청정기 사용: 실내공기 청정기를 사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청정기의 필터는 정기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기청정기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기능이 있는 제품도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주로 다음과 같은 필터를 사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합니다. ▶HEPA 필터: HEPA 필터는 먼지, 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의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필터입니다. HEPA 필터는 미세먼지 0.3마이크론 이상을 99.97% 이상 제거할 수 있습니다. ▶활성탄 필터: 활성탄 필터는 가스, 화학 물질, 냄새 등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전기장 필터: 전기장 필터는 이온화된 공기와 충돌하여 미세먼지 입자를 제거합니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CADR이라는 성능 지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CADR은 Clean Air Delivery Rate의 약자로, 공기청정기가 일정 시간 내에 처리하는 공기량과 미세먼지의 효율적인 제거율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CADR이 높을수록 공기청정기의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를 선택할 때는 HEPA 필터를 사용하는 제품과 CADR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환기: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실내 공기가 더욱 오염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마다 창문을 열어 환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미세먼지 예보 확인: 미세먼지 예보를 확인하여 외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외출을 최소화하거나, 마스크 착용 등 예방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미세먼지 기준은 미국 환경보호국 US AQI등급과 국제보건기구 WHO 권고 두 가지가 있으며 국제보건기구 WHO 권고 중에는 잠정목표3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 잠정목표3 ' 내용입니다.(연평균 미세먼지 30, 초미세먼지 15, 잠정목표2 대비 사망률 6% 감소)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오염도 기준으로 4단계(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로 구분이 됩니다.[좋음:0~30, 보통:31~80, 나쁨:81~150, 매우나쁨:151 이상],요즘은 기상청 등 날씨앱에 보시면 이런 농도 수치들이 나오죠.

⑤미세먼지 발생원 줄이기: 자동차, 화력발전소, 공장 등 미세먼지 발생원을 줄이는 정책을 시행하고, 개인적으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차량 대신 자전거나 보행 등을 통해 대기 오염을 줄이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